728x90
1) 서버→클라이언트: "JSON"을 이해하기
서울시 OpenAPI에 접속해보기
http://openapi.seoul.go.kr:8088/6d4d776b466c656533356a4b4b5872/json/RealtimeCityAir/1/99
팁☞ JSONView 설치 (예쁘게 JSON을 볼 수 있다!)
https://chrome.google.com/webstore/detail/jsonview/chklaanhfefbnpoihckbnefhakgolnmc?hl=ko
JSON은, Key:Value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 자료형 Dictionary와 아주- 유사하다
위 예제에서는 RealtimeCityAir라는 키 값에 딕셔너리 형 value가 들어가있고, 그 안에 row라는 키 값에는 리스트형 value가 들어가있다!
2) 클라이언트→서버: GET 요청 이해하기
- API는 은행 창구와 같은 것!
- 같은 예금 창구에서도 개인 고객이냐 기업 고객이냐에 따라 처리하는 것이 다른 것처럼, 클라이언트가 요청 할 때에도, "방식"이 존재한다.
- HTTP 라는 통신 규약을 따른다는 거 잊지 않으셨죠? 클라이언트는 요청할 때 HTTP request method(요청 메소드)를 통해, 어떤 요청 종류인지 응답하는 서버 쪽에 정보를 알려주는 거다.
1) GET 요청
통상적으로 데이터 조회(Read)를 요청할 때, 사용한다.
예) 영화 목록 조회
→ 데이터 전달:URL 뒤에 물음표를 붙여 key=value 전달
2) POST요청
통상적으로 데이터 조회(Read)를 요청할 때, 사용한다.
예) 회원가입, 회원탈퇴, 비밀번호 수정
→ 데이터 전달 : 바로 보이지 않는 HTML
GET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
? : 여기서부터 전달할 데이터가 작성된다는 의미입니다.
& : 전달할 데이터가 더 있다는 뜻입니다.
예시) google.com/search?q=아이폰&sourceid=chrome&ie=UTF-8
위 주소는 google.com의 search 창구에 다음 정보를 전달합니다!
q=아이폰 (검색어)
sourceid=chrome (브라우저 정보)
ie=UTF-8 (인코딩 정보)
'소소한 지식 사전!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소지사] ORM이란 (0) | 2023.06.27 |
---|---|
[소지사] Jackson (0) | 2023.06.27 |
[소지사] MVC 디자인 패턴 (0) | 2023.06.25 |
[소지사] Http 상태코드(Status Code) (0) | 2023.06.25 |
[소지사] Http란 (0) | 2023.06.25 |